본문 바로가기
[이직 면접] 질의 응답

[네트워크] OSI 7계층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by 막개발자 2020. 12. 29.

# 질의 응답 상황

[면접관]

지원자님, 네트워크에서 OSI 7계층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막개발자] 

OSI 7계층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에 대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 발생 시 문제 해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각 계층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 A: 응용 계층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만듭니다.
  • P: 표현 계층
    응용 계층에서 전송한 메시지를 압축하고 코드화합니다.
  • S: 세션 계층
    송수신자 간에 동기화 신호를 주고받고 가상 연결을 설정합니다.
  • T: 전송 계층
    송수신자 간에 논리적 연결을 수행합니다.
  • N: 네트워크 계층
    수신자의 IP를 확인하고, 라우터가 경로를 결정합니다.
  • D: 데이터 링크 계층
    IP 주소를 기반으로 MAC 주소를 구합니다.
  • P: 물리 계층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변환하여 실제 전송합니다.

 

 

# 상세 설명

 

1. OSI 7계층 구조와 역할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한 과정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며, 각 계층은 특정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각 계층은 상호작용을 통해 작업을 처리합니다.

 

계층번호 계층 이름 역할
7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합니다. 예: HTTP, FTP, SMTP
6 표현 계층 데이터 형식 변환 및 응용 계층 간의 상호 운영성 보장. 예: JPEG, SSL
5 세션 계층 통신 세션 관리. 연결 설정, 유지, 종료를 담당. 예: NetBIOS, RPC
4 전송 계층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을 보장. 포트 번호를 사용. 예: TCP, UDP
3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라우팅 및 IP 주소를 통해 목적지에 전달. 예: IP, ICMP
2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적 전송에서 데이터 오류 감지 및 수정. 예: Ethernet, PPP
1 물리 계층 실제 하드웨어에서 데이터를 전송. 신호를 전기적 또는 광학적 신호로 변환. 예: 케이블, 네트워크 카드

2. 데이터 흐름

데이터는 송신 측에서 상위 계층(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하위 계층(물리 계층)으로 내려가면서 각 계층에서 특정 헤더가 추가됩니다. 수신 측에서는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올라가며 각 계층에서 헤더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3. 각 계층의 주요 프로토콜 및 장치

 

계층 이름 주요 프로토콜/표준 주요 장치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 FTP, SMTP, DNS 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표현 계층 JPEG, MPEG, SSL/TLS 데이터 변환기
세션 계층 NetBIOS, RPC 세션 관리자
전송 계층 TCP, UDP 방화벽
네트워크 계층 IP, ICMP, ARP 라우터
데이터 링크 계층 Ethernet, PPP, Frame Relay 스위치, 브리지
물리 계층 RJ-45, Ethernet, USB, 광섬유 허브, 케이블

4. OSI 모델의 주요 목적

  • 표준화: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및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
  • 문제 해결: 특정 계층의 문제를 독립적으로 분석하고 수정할 수 있음.
  • 유연성: 새로운 기술과 프로토콜을 쉽게 추가할 수 있음.

5. OSI 모델과 TCP/IP 모델 비교

TCP/IP 모델은 4계층 구조 (애플리케이션, 전송,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OSI 7계층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송 및 네트워크 계층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